전체 글1267 탄생 100주년 한국 근대문학의 별들-[김유정,유치환] 2008년은 김유정·고은·조지훈의 해 문단 안팎 풍성한 행사 탄생 100주년 한국 근대문학의 별들 위대한 이름들의 부활, 2008년 2008년은 소설가 김유정, 시인 유치환 등이 태어난 해다. 또 김수영 시인과 조지훈 시인의 40주기이다. 박목월 시인과 박두진 시인은 각각 30주기, 10주기를 맞는다. ‘혼불’의 .. 2008. 1. 12. [현대시 100년-사랑의 詩] 윤동주 - 눈오는 지도(02) [현대시 100년-사랑의 詩] 윤동주 - 눈 오는 지도(地圖)’ 순이(順伊)가 떠난다는 아침에 말 못할 마음으로 함박눈이 내려, 슬픈 것처럼 창 밖에 아득히 깔린 지도 위에 덮인다. 방안을 돌아다보아야 아무도 없다. 벽과 천정이 하얗다. 방안에까지 눈이 내리는 것일까. 정말 너는 잃어버린 역사(歷史)처럼 .. 2008. 1. 11. 시인을 섬기는 사회( 서정주, 김동리의 일화) [조선데스크] 시인을 섬기는 사회 서정주, 김동리, 김훈, 김소월 일화 시인 서정주와 소설가 김동리는 시와 소설에서 각각 양대 산맥을 형성한 평생 문우였다. 젊은 시절 두 사람 사이에 있었던 일화는 문단에서 시와 소설의 차이를 설명할 때 자주 거론된다. 두 사람이 어느 날 술을 마셨다. 술이 거나.. 2008. 1. 11. [애송시 100편-제9편] 한잎의 여자, 오규원 [애송시 100편- 제9편] 한 잎의 여자 한 잎의 여자 - 오규원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한 잎같이 쬐그만 여자, 그 한 잎의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그 한 잎의 솜털, 그 한 잎의 맑음, 그 한 잎의 영혼, 그 한 잎의 눈, 그리고 바람이 불면 보일 듯 보일 듯한 그 한 잎의 순결과 자유를 사랑.. 2008. 1. 11. 토지, 박경리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94> 토지 - 박경리 시인 김구용(金丘庸)은 서울에 이괴(二怪)가 있으니, 북에는 박경리요 남에는 손창섭이라고 했다고 한다. 여기서 괴란 범상치 않음이리라. 필자가 여기에 대구를 맞추어 본다면, 한국에 이대가(二大家)가 있으니, 남에는 박경리요 북에는 최인훈이다. 박경.. 2008. 1. 10. 백석 시전집, 이동순편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89> 백석시전집 - 백석 1930년대 중반에 ‘정주성’이란 짤막한 시를 발표하면서 백석(白石·본명 기행)은 문단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그 이전과 이후의 그 누구보다도 자신의 고향마을과 그가 여행했던 지역에 파묻힌 우리의 오랜 풍속을 맛깔스럽고도 구수하며 투박한 .. 2008. 1. 10. 구운몽, 김만중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82> 구운몽 - 김만중 한국 고전소설 중 최고 명작을 말하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을 첫손에 꼽는다. ‘구운몽’은 불교의 공(空)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불승인 성진의 세계와 관료인 양소유의 세계가 몽중 액자형식을 통해.. 2008. 1. 10. 삼대, 염상섭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79> 삼대 - 염상섭 염상섭의 장편소설 ‘삼대(三代)’는 한 가족의 3세대에 걸친 가족사적(家族史的)인 이야기를 토대로 대한제국 말에서부터 식민지시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의 사회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이 식민지시대 문학의 사실주의적 성과를 대표.. 2008. 1. 10. 천변풍경, 박태원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75> 천변풍경 - 박태원 청계천이 복원되는 오늘에 다시 읽어 보는 ‘천변풍경’은 한국이 낳은 대작가인 박태원의 높은 산문 정신과 깊은 예술 혼을 재삼 음미해 볼 수 있는 문제작이다. ‘천변풍경’을 발표하기 몇 년 전 박태원은 그의 출세작인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2008. 1. 10. 춘향전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68> 춘향전 - 작가미상 ‘춘향전’은 춘향과 이 도령의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사랑을 다룬 하고많은 소설 중에 이 작품이 유독 인기를 끈 요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인공 춘향에게 있다. 이 도령을 처음 만났을 때는 그가 자기를 끝까지 사랑할 것인가를 .. 2008. 1. 10. 무정.꿈, 이광수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60> 무정 - 이광수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無情)’은 1917년 매일신보에 연재된 후 단행본으로 간행됐다. 이 소설은 식민지시대에 신소설이 빠져들었던 통속화 경향을 극복하고 근대소설의 서사적 속성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 위치를 차.. 2008. 1. 10. 인간문제, 강경애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51> 인간문제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동아일보에 1934년 8월 1일부터 12월 22일까지 연재되었던 장편소설이다. 강경애는 광복 이전에 여성 작가로는 리얼리즘 문학정신을 가장 치열하게 또 실천적으로 구현했다. 그의 소설 대부분은 간도 이주 후에 쓰인 것으로 일면 창작.. 2008. 1. 10. 고향, 이기영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48> 고향 - 이기영 일제강점기 한국의 지식층 청년은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지에서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들은 이 과정에서 러시아의 사회주의와 프롤레타리아 혁명 사상을 수용해 이를 적극적으로 문학 활동에 접맥하기 시작했다. .. 2008. 1. 10. 카인의 후예, 황순원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29> 카인의 후예 - 황순원 모두 9장으로 짜여 있는 장편소설 ‘카인의 후예’는 원래 ‘문예’라는 잡지에 1953년 9월호부터 1954년 3월호까지 5회 연재되다 중단되었던 것이다. 황순원은 ‘문예’ 연재본을 두 배 가까이 늘려 작품을 완성시켜 1954년 말 중앙문화사에서 단행본.. 2008. 1. 10. 탁류, 채만식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15> 탁류 - 채만식 소설은 감성 혹은 느낌으로 파악한 당대의 역사이다. 한국의 근대사를 감성 차원에서 이해하고 그것을 내 인식 영역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한국 근대소설사에 우뚝한 몇몇 작품을 읽어둘 필요가 있다. 채만식의 ‘탁류’는 한국 근대사를 파악하는 데 하.. 2008. 1. 10. 정지용 전집, 정지용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22> 정지용 전집 - 정지용 한국 현대 시문학사를 대표할 수 있는 시인을 꼽으라면 정지용(鄭芝溶·1902∼1950)을 들 수 있다. 그는 1926년 ‘학조’에 ‘카페 프란스’와 같은 다다이즘 경향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해 1930년대 초반에는 ‘시문학’파에 참여하여 순수 서정시의.. 2008. 1. 10. 광장, 최인훈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박성창] <1> 광장 - 최인훈 최인훈은 전후 한국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가운데 하나로서, 작품들을 통하여 한국인의 삶의 궤적을 20세기 세계사의 진폭 속에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인간 존재의 본질 규명에 주력해온 폭넓은 사유를 보여준 바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히.. 2008. 1. 10. 서울대 권장도서 목록 100권 ▼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목록 과학기술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호프만) 과학고전 선집 신기관(베이컨) 종의 기원(다윈)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 쿤) 괴델,에셔,바흐(호프스태터) 부분과 전체(하이젠베르크) 엔트로피(리프킨) 이기적 유전자(도킨스) 카오스(제임스 글라크) 객관성의 칼날(길리.. 2008. 1. 10.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