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의 향기/시론 칼럼
시론 2 [詩는... 짓는 것이 아니라]
by 골든모티브
2008. 1. 18.
[詩論 칼럼]-2
詩는... 2
|
짓는 것이 아니라,
|
심장 밑바닥에서
|
괴어 넘쳐 흐르는 것을
|
추스려 담아 내는 것이다.
|
|
詩는...
|
쓰는 것이 아니라,
|
심금에서 우러나오는
|
영혼의 울림을 현상화 시켜
|
빚어내어 비추는 것이다.
|
|
심중한 번뇌의 흔적도 없이
|
잔머리와 손재주로 낱말 부스러기들을
|
그럴싸하게 짜맞추는 기교성 테크닉으로 쓰갈겨 대는 시들...
|
그런 것은, 화장발 두텁게 하고 미인인척, 잘난 척 하는
|
허영끼 많은 배우의 어슬픈 몸짓과 같은 것이다
|
|
마치 넋두리 잡답 같은 글들을 대충 써갈겨 놓고서는
|
퇴고도 한 번 해보지도 않은 채, 뜨끈뜨끈한 글-엉성한 글들을
|
작품이랍시고 함부로 발표들을 해대면서, 시인이라고 명함 디밀어 대는
|
실로 심각한 착각 속에서 헤메는 삐에로 같은 자들이
|
우후죽순으로 난립하고 난무하는 것이 작금 한국시단의 모습이자, 그 몰골이다.
|
|
사이버상에 아무렇게나 대충 써 대면, 죄다 詩이고, 詩人인 줄 안다
|
시가 아닌 것은, 자작글이나 마음의 글, 일상의 글이나 넋두리라고 해야지
|
덮어놓고 무조건 시라고 써놓고는 여기 저기 문학지니 동인지니 하면서
|
마구잡이식으로 발표하고 올려대니...문인의 격과 가치가 저절로 추락하고 있다
|
실로 그 꼴들이 한심하고 우스광 스럽기 짝이 없다.
|
|
시가 아닌 것은,
|
시라고 표기를 하지말고, 시로 발표하지 말아야 한다.
|
|
추상적인 시나, 관념적인 시, 그리고 서정적인 시라고 예외일 수 없다.
|
특히, 서정시에 있어서도 서정적인 표현을 함에 있어서
|
평범하고 쉬운 단어 하나, 한 글자라도 좀 심중히 생각하여 궁구해보고
|
심고를 거듭하여 퇴고의 정성을 많이 들여야 하고
|
쓰고 난 뒤에는 어느정도 시간적으로 좀 묵혀 두었다가
|
시간 날 때, 다시 한 번 정밀 검토도 해보고 그러고 난 후에
|
신중히 문학지를 잘 선택해서 발표해야 한다
|
책으로 활자화가 되고 나면, 오류가 발견되더라도 고칠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서정시라고 대충 쉽게 묘사하여 쓰고 발표하는 얕은 속성을 버려야 한다.
|
|
http://cafe.daum.net/hanvitway 한빛선원
글 : 李時明 , 2006.06.06.-[國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