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의 향기/시론 칼럼
시론 3 [시를 쓴다는 것은]
by 골든모티브
2008. 1. 18.
[詩論 칼럼]-3 |
|
詩를 쓴다는 것은...
|
|
詩를 쓴다는 것은, |
탄광 막장의 광부와도 같은 것이다
|
|
가장, 원초적인 본 능으로
|
살아 남기 위해서,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서
|
목숨 마저 담보로 내어 던지고
|
숨이 턱~턱~ 막히는 수 백미터의 지하 막장 안에서
|
오직,곡괭이 질만을 해 대는 광부의 삶과도 같은 것이다
|
|
삶의 벼랑 끝에서, 죽음마저 사치스럽게 느끼며
|
神에게 절박한 절규의 몸부림을 쳐 보았는가?
|
온 몸으로 뼈속 깊은 냉혹한 체험을 하고
|
실혼의 혼불을 지피는 마음을 가져본 적이 있는가?
|
한 번쯤은 자문 해보아야 할 것이다
|
|
정신의 고달픔은 당연하나,
|
육신이 고달프지 않은 상태에서의 글들은
|
언어의 유희나 축적해 둔 단어의 화려한 배열로
|
고도의 기교에 머무를 수 있을 위험이 크다
|
글자 한字 한字에는, 흐르는 氣와 魂이 있는 것이다
|
그 각각의 글자들에 깊은 통찰의 사고를 유입시켜서
|
더 큰 氣와 魂을 담아내는 작업이 문학을 하는 이들의
|
구도적인 작업이며, 일종의 업(業)이기도 하다
|
|
文人-詩人은,
|
미생물이나 무기체, 풀 한 포기와도 교감하고
|
심적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이
|
습득 되어야 하고, 또 그리 되어야 하며
|
일반인이 무심코 지나치는 자연이나 어떤 현상에서
|
예민한 감성과 촉수로,보석과도 같은 멧세지를 읽어 내어서
|
뭇 사람-대중들에게 전달해주는 역활을 하고,또한
|
점점 황폐해져가는 현대의 삶을 이어가는 뭇 군상들의
|
경직된 심성을 계도하는 선도적 역활을 담당하는
|
고독하고도 외로운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
|
깊은 고독과 외로움을 원죄의 숙명으로 알고,
|
부침하다 명멸하는 세상사의 헛된 명예에 연연하지 않고
|
풀잎처럼,이슬처럼,바람처럼,구름처럼,강물처럼,바다처럼
|
비우고 비우고,또 비우는 마음 공부를 끊임없이 계속 하면서
|
주어진 일생을 살아가야 하는 외로운 영혼의 방랑자이다.
|
|
글 : 李時明 , 2006.06.06.-[國松]-
http://cafe.daum.net/hanvitway 한빛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