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분단과 통일을 위한 노력
◈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5. 8.15 - 8.15 광복 : 연합군 승리, 일본의 항복, 일제의 식민 통치에서 벗어남, 북위 38도선 - 분단
1948. 5.10 -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
1948. 7.17 - 헌법제정, 공포(제헌절) : 국회는 헌법을 제정하고 초대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시영
1948. 8.15 - 대한민국 정부수립
1948. 9.9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
1950. 6.25 - 6.25 전쟁 : 북한 공산군의 남침, 유엔 참전 16개국, 중국군 개입
1953. 7.27 - 휴전 협정 조인
▲ 6.25 전쟁 60주년 특별기획전-전쟁기념관
◈ 통일을 위한 노력
1970. 8.15 - 평화통일 구상선언 : 남북간의 긴장완화를 통해 통일 여건을 조성
1971. 8.12 - 남북 접십자 회담 - 이산가족 찾기 제의
1972. 7.4 - 7.4 남북 공동성명 - 통일 3대 원칙 합의 : 자주통일, 평화통일, 민족 대단결 도모
1973. 6.23 - 6.23 평화 통일 외교정책 선언 :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제안, 한반도에 두 개의 정부 인정
1983.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1985. 9.22 - 남북한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 상호 교류
1988. 7.7 - 7.7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 : 자주, 민주, 평화, 복지의 원칙에 입각한 통일주창
1990. 10.3 - 독일 통일 : 독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후 300여일 만에 동서로 나뉜 독일이 통일에 합의
1991. 9.17 -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 유엔 총회에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과 대한민국이 회원국
1991. 12.13 -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1992. 1.20 -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발표 : 그 후 북한은 1993년 핵 확산 금지 조약에서 탈퇴
1994. 7.8 - 김일성 사망
1998. 11. 금강산 관광 사업 추진
2000. 6.15 - 남북 정상회담 :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회담
2000. 6.15 - 6.15 남북 공동선언 : 자주적 통일 논의, 평화 정착에 대한 신뢰 회복, 이산 가족 문제 해결 등
2000. 8.15 - 이산 가족 상봉
2005, 12.29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제정 : 자주, 평화, 민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한반도 평화통일 추구
2007. 10.2 - 2차 남북 정상회담 :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 위원장과의 회담
2007. 10.4 - 10.4 선언 :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남북한 평화 체제 정착을 추구
2010. 5.24 - 5.24 대북압박 조치 - 대북 경제 제재 조치, 천안함 폭침에 따른 정부의 대북 제재
2010. 8.15 - 3대 공동체 통일구상 : 평화공동체(안전과 평화), 경제공동체(교유와 협력), 민족공동체
2011. 5.9 - 5.9 베를린 제안 : 이명박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와의 회담후 북한이 비핵화에 합의하면 내년 3월 핵안보정상회의에 김정일 국방위위원장을 초대하겠다고 제안
2011. 7.1 - 제15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자문위원 김동기
'♡ 재미가 솔.상식이 쑥 > 민주 . 평화 . 통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교육 교재 (0) | 2011.07.06 |
---|---|
남북 대화 주요 자료 (0) | 2011.07.05 |
통일 정책 (0) | 2011.07.04 |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민주평통) (0) | 2011.06.14 |
한국 근현대사 100년 (0) | 201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