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시 100년史 5대 쟁점
1908년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발표된 이후 100년 동안 한국 근ㆍ현대시사에는 어떤 논쟁들이 펼쳐졌을까. 월간 '문학사상'은 4월호에서 '한국 현대시 100년의 쟁점'이라는 특집을 마련,
▲전통과 서구의 대립 ▲한국적 장시(長詩) ▲서정시 ▲정치시 ▲현대시조 등 100년간 첨예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5대 쟁점들을 되짚어봤다.
문학평론가인 김영철 건국대 교수는 한국 근대시의 역사를 '전통지향성'과 '서구지향성'의 상호작용과 길항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봤다.
그는 개화기 시가의 장르, 문체, 사상, 형식면에서 이 두 상반요소의 길항작용이 현저히 나타나며 개화기 시가가 근대시의 면모를 갖춰나갈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또 1920년대 국민문학과 카프(KAPF)의 대립, 1930년대 시문학파와 모더니즘파의 대립, 해방기와 전후문학에서의 전통 서정파와 신사조 수용파의 대립도 전통지향성과 서구지향성의 또 다른 형태로 봤다.
김 교수는 "전통지향성과 서구지향성은 한국 근대 시단의 지형도를 구축해 온 기본축으로 한국 근대시, 나아가 근대문학의 본질로 평가됨이 마땅하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 시사연구나 평가에서 이 문제가 도외시돼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윤여탁 서울대 교수는 '시와 정치'라는 화두를 갖고 개화기부터 최근까지 사회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과 비판을 표현한 시와, 반대로 각 시기의 정치적 관점이나 견해를 옹호하거나 암묵적으로 동조한 정치시들을 살펴봤다.
그는 정치시의 경우 시의 내용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가변적이고 유동적이며, 문학성 면에서는 대체로 감상주의에 빠져있다거나 지나친 낙관주의라거나 직설적인 서술에 머물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령 1975년 발표된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의 경우도 "독재 정권 하에서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고 평가됐지만 민주화가 실현되면서는 사상과 감정을 직설적으로 서술했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며 "정치시는 사회 현실의 변화에 따라 항상 재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나민애 서울대 강사는 서정시의 100년사 속 논쟁들을 되짚어봤으며, 민병욱 부산대 교수와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각각 한국적 장시와 현대시조를 둘러싸고 진행됐던 시단의 쟁점을 정리했다.
문학평론가인 김영철 건국대 교수는 한국 근대시의 역사를 '전통지향성'과 '서구지향성'의 상호작용과 길항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봤다.
그는 개화기 시가의 장르, 문체, 사상, 형식면에서 이 두 상반요소의 길항작용이 현저히 나타나며 개화기 시가가 근대시의 면모를 갖춰나갈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또 1920년대 국민문학과 카프(KAPF)의 대립, 1930년대 시문학파와 모더니즘파의 대립, 해방기와 전후문학에서의 전통 서정파와 신사조 수용파의 대립도 전통지향성과 서구지향성의 또 다른 형태로 봤다.
김 교수는 "전통지향성과 서구지향성은 한국 근대 시단의 지형도를 구축해 온 기본축으로 한국 근대시, 나아가 근대문학의 본질로 평가됨이 마땅하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 시사연구나 평가에서 이 문제가 도외시돼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윤여탁 서울대 교수는 '시와 정치'라는 화두를 갖고 개화기부터 최근까지 사회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과 비판을 표현한 시와, 반대로 각 시기의 정치적 관점이나 견해를 옹호하거나 암묵적으로 동조한 정치시들을 살펴봤다.
그는 정치시의 경우 시의 내용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가변적이고 유동적이며, 문학성 면에서는 대체로 감상주의에 빠져있다거나 지나친 낙관주의라거나 직설적인 서술에 머물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령 1975년 발표된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의 경우도 "독재 정권 하에서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고 평가됐지만 민주화가 실현되면서는 사상과 감정을 직설적으로 서술했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며 "정치시는 사회 현실의 변화에 따라 항상 재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나민애 서울대 강사는 서정시의 100년사 속 논쟁들을 되짚어봤으며, 민병욱 부산대 교수와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각각 한국적 장시와 현대시조를 둘러싸고 진행됐던 시단의 쟁점을 정리했다.
월간 '문학사상' 4월호
연합뉴스,2008.3.24
'▒ 시의 향기 > 한국 현대詩 10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대표 시인 초간본 총서-김억에서 윤동주까지 (0) | 2008.04.17 |
---|---|
문인과 화가의 만남―책과 그림展 (0) | 2008.04.13 |
한국 현대문학 100년 키워드 8가지 (0) | 2008.02.29 |
100살 현대문학 소원은 국립박물관 (0) | 2008.02.22 |
한국 현대문학 100년의 키워드 - 연애,도시,가족 (0) | 200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