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기36

운수 좋은 날 / 김동기 운수 좋은 날 삼 년 만의 봄나들이 아내의 체크 무늬 숄더 백 장롱 속 남은 가방들이 너, 오늘 간택 받았구나 눈짓하네 함박웃음 숨긴 채 개나리, 벚꽃과 도란도란 속살거리며 세상구경 정신없네 하필 작달비가 시샘하여 물에 빠진 생쥐꼴! 귀가 후 장롱 속 친구들에게 오늘 운수 사납다 * 작달비 : 장대.. 2011. 5. 8.
임철우 소설가와 인터뷰 임철우 소설가를 만나다 학생들과 소설을 공부하면서 항상 고민이 많습니다. 작품을 읽고 토론을 하고 작가를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데, 교육현장에서는 항상 평가를 준비하고 수능에 대비하여 언어영역 문제풀이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국어교사의 사명이 되어 버렸습니다. 이런 슬픈 현.. 2011. 4. 23.
고은시인 인터뷰 2011. 3. 7.
만인보의 저자 고은 시인을 만나다 만인보의 저자 고은 시인을 만나다 인물 대서사시 만인보 완간 - 25년 집필 전 30권 작품수 4001편 연작시 영원한 노벨문학상 후보, 등단 52년, 세노야, 등대지기의 작사가, 겨레말 큰사전 이사장 시는 "자연의 언어, 심장의 뉴스(소리), 삶, 치유, 우주의 몸짓이다"라고 역설함 교과서 .. 2011. 3. 3.
꼭 가볼만한 문학기행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문학기행 시리즈(30선) 1. 경기 박두진 : 박두진문학연구소, 보개도서관(혜산박두진자료실)안성 보개면 조병화 : 조병화(편운재) 문학관 - 안성 난실리 황순원 : 소나기마을 황순원 문학관 - 양평 수능리 2. 강원 김유정 : 실레마을, 김유정 문학관, 생가 - 춘천 박경리 : 토지 문화관.. 2011. 1. 16.
시와 노래 - 나팔꽃 콘서트 시노래모임 나팔꽃 콘서트 시와 음악이 만나다. 시노래 콘서트 "작게, 낮게, 느리게" 정호승시인 : 내가 사랑하는 사람, 고래를 위하여, 연어, 이별노래, 부치지 않은 편지, 봄길 우리가 어느 별에서, 수선화에게, 산산조각, 어머니를 위한 자장가, 밥그릇, 풍경달다, 바닥에 대하여, 사랑하다 죽어버려라,.. 2010. 12. 3.
윤동주 땅집 시낭송 및 연주회 2010년 윤동주 땅집 시낭송 및 연주회 주제 : 윤동주의 시 정신 일시 : 2010. 10. 23. 5시 ▷연주 : 아리랑, 한오백년 : 김나래(해금), 이화영(가야금), 김시영(성악) ▷인사말 : 조병수박사 (조병수 건축연구소 소장) ▷축 사 : 신연균(재단법인 아름지기 이사장), Clark Llewellyn(하와이대학교 학장) ".. 2010. 10. 27.
한서고 백일장 2010 한서고 교내 백일장 일시 : 2010년 10월 1일 금(09:00~14:00 장소 : 경기도 고양시 행주산성 대상 : 1학년 참가부문 : 운문과 산문 시상 : 대상, 금상, 은상, 동상 글제 : 코스모스와 길, 억새와 갈대, 가을향기, 만남과 헤어짐, 자전거, 진정한 공정사회, 태풍, 거울 등 행주산성(국가지정 문화재 사적 제56호) .. 2010. 10. 4.
윤동주 땅집에서 시와 산문 낭송회 윤동주 땅집 기념관 개관 1주년 기념 시와 산문 낭송회 및 국악 한마당 시와 산문낭송 : 서재석, 최창일, 김현숙, 이홍구, 김경희, 김동기, 김화순, 신현근 국악연의 향연 : 김나래 해금, 이화영 가야금 다랑쉬연주(김대성작곡 : 제주 다랑쉬오름, 월랑봉(月郞峰), 다랑쉬 동굴 4.3사건의 억울한 죽음과 희.. 2010. 5. 9.
윤동주 땅집 2010 윤동주 땅집 개관 1주년 기념 [시와 산문 낭송회 및 국악 한마당] 때 : 2010년 5월 8일 17시 곳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수곡리 윤동주 땅집 기념관 주최 : 사단법인 서울 강서문인협회 주관 : 조병수 건축연수소 후원 : 한국문인협회, 한민족역사문화연구원, 푸른솔문학연구원, 씨스쿨(교육기업) [행사.. 2010. 5. 8.
일본 역사문화 탐방 안녕하십니까 ^*^ 반갑습니다~~!! 제 블로그를 찾아주신 모든 블로거님께 경인년 새해 인사드립니다 블로그는 하나의 세상이며 우리들을 또다른 삶으로부터 연결해주는 하나의 끈입니다 세대차이도 없고 빈부의 격차도 없습니다 부귀공명 버리고 그저 청풍명월 벗삼아 강구연월을 노래하.. 2010. 1. 17.
서호에 취하고 서당에 반하다 서호에 취하고 서당에 반하다 국어교육 2010년 1,2월호(91호) “항주에 서호가 없었다면 항주를 갈 이유가 없다” 신종플루의 위험이 도사리는 초여름 상하이(上海)를 거쳐 항저우(杭州)의 서호(西湖)와 서당(西塘)을 찾았다. 서호에 도착하자마자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며 시커먼 먹구름이 태양을 집어 .. 2010. 1. 8.
고목위의 개미 고목위의 개미 서울교육 2009 겨울호(196호) 만산홍엽(滿山紅葉)의 계절, 보이는 것 모두가 한 폭의 수채화 같은 제법 한적한 가을 산을 터벅터벅 걸으며 생수를 과실주인양 음미하면서 천천히 들이마신다. 가슴 한편에 켜켜이 쌓여 꿈틀대는 일상과 번잡하고 감각적인 도시에서 벗어나 모처럼 친구들과 .. 2010. 1. 8.
아재와 방패연 아재와 방패연 한국크리스천문학 43호(겨울) 눈발이 세차게 날리는 그해 겨울, 멀리서 수요 예배를 알리는 교회당의 쇠북(鍾)소리가 은은하게 들려오고 빨갛게 잘 익은 사과 같은 해가 뉘엿뉘엿 안산으로 떨어진다. 추운 바깥 풍경과는 달리 사랑방 정지에서는 가마솥에 김이 모락모락 나며 소여물 쑤.. 2010. 1. 7.
땅집은 하늘집이다 땅집은 하늘집이다 모든 건축물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위를 쳐다보지만 여기 거꾸로 고개 숙인 고요한 집이 있다 모두가 자연을 거스르며 도전하지만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여 자연과 하나가 되고자하는 건축가가 있다 세상은 음보다 양이 강하다고 하지만 땅집은 음이 양보다 강하다는 것을 보여 준.. 2010. 1. 7.
윤동주 시인을 기리는 땅집 윤동주 시인을 기리는 땅집 -윤동주의 하늘과 땅과 별을 기리는 집- 강서문단 3호(2009.12.30) 푸른솔문학 6호(2010.3.26) 윤동주 시인은 북간도 명동촌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건너간 뒤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생을 마쳤다. 그의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국민 애송시가 되었으며 김소월과 함께 한.. 2010. 1. 7.
한일 문화교류의 밤 제 16주년 2009 IN SEOUL 한일 문화교류의 밤 문화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이다 '한일친구회'로 출발한 한일문화교류센터는 경제-사회-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일 양국간 협력방안 등을 추진해오고 있다. 문화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은 변치 않을 것이다 한일 양국 상호간 문.. 2009. 11. 14.
형이상시(形而上詩: metaphysicalcal poetry) 형이상시(形而上詩: metaphysicalcal poetry) 21세기는 오직 형이상시다 17세기 영국에서 새롭게 대두된 존던(John Donne)을 주축으로 한 형이상학파 시(Metaphysical poets)운동을 전개하여 영국시단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형이상시의 특징은 기상적(奇想 Conceit) 비유이다 양극화된 이질적인 사상이나 사물을 폭력적.. 2009.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