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과 삶의 향기137 이효석 생가를 찾아서 메밀꽃 필 무렵의 자취 이효석 생가 평창이 낳은 한국 현대문학의 대가 가산 이효석 봉평 효석문화마을은 메밀꽃 필 무렵의 실제 무대이다 이효석 1907년에 태어나 1942년 36세에 뇌막염으로 사망 작가의 고향, 2009년에 복원된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남안리 이효석 생가 천재 작가 이효석이 14살까지 유년 .. 2011. 6. 12. 이효석 문학관 가산 이효석 문학관 메밀꽃 필 무렵의 자취를 찾아서 아직 소금을 뿌린 듯한 메밀꽃은 없지만 달빛은 여전히 숨이 막히다 2002년 개관, 문학전시실, 문학교실, 학예연구실, 메밀 자료실 등으로 이루어짐 주위로는 문학정원, 메밀꽃 길, 오솔길, 이효석 문학비, 동 카페 등이 있다 소설속의 분위기를 찾아 .. 2011. 6. 12. 메밀꽃 필 무렵 - 이효석 이효석 문학기행 물레방앗간, 충주집, 가산공원 이효석 문학기행 - 한서고, 길꽃도서관 회원, 영신교회 학생들과 함께 허생원이 성처녀을 우연히 만나 정을 통한 곳. 1991년 문화마을 1호로 지정됨 달이 너무나 밝은 까닭에 옷을 벗으로 물방앗간으로 들어가지 않았나 거시서 난데없는 성서방네 처녀와 .. 2011. 6. 12. 서정주 생가 미당 서정주 생가 소요산 문필봉의 정기를 받아 서정주 태어남 국화의 시인, 탁월한 토속어를 구사 대표작 국화옆에서 등 세대를 뛰어넘어 누구나 즐겨 암송함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 미당은 시인이 받을 수 있는 최대의 찬사를 받았는가 하면 혹독한 비판도 받았다 미당 서정주(1915.. 2011. 5. 22. 미당 시문학관 미당 시문학관 한국 최고의 서정시인, 문학의 교주, '소설에 동리' '시에 미당' 미당 서정주(1915~2000)는 20세기 대표시인으로 1000여편의 시를 발표했다. 우리말을 가장 능수능란하고 아름답게 구사해 한국어가 도달 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를 보여 주었다. 후배 시인들로부터 시의' 정부', '신화'로 불리운.. 2011. 5. 22. 시화전 및 시낭송회 - 김동기 서울 강서문인협회 시화전 및 시낭송회 시를 사랑한다는 것은 삶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모두가 넓은 바다에 배를 띄우고 떠가는 사공처럼 지쳐 있습니다 이럴때 일수록 시를 감상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은 보약보다 더 값진 일일 것입니다 전시기간 : 2011... 2011. 5. 21. 이효석 문학기행 메밀꽃 필 무렵의 자취를 찾아서 ◈ 이효석(1907~1942), 호는 가산 강원도 봉평 출생, 36세에 요절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소설 ‘도시와 유령’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 유진오와 함께 동반자 작가로 활동 - 카프(KAPE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진영으로부터 동반자 작가(러시아 공산주의 혁.. 2011. 5. 19. 문학관 소개 ◈전국의 대표적인 문학관 문학의 향기를 따라 여행을 해보자 한국문학관협회에 등록된 문학관 : 46개 중 꼭 가볼만한 대표적인 문학관 15곳 구분 문학관 지역 대표작 기타 촌 황순원문학촌(소나기마을) 양평 소나기, 학, 목넘이 마을의 개 평남 대동 김유정문학촌(실레마을) 춘천 봄봄, 동.. 2011. 5. 19. 문학관 지도-문학관 현황 전국 문학관 지도-문학관 찾아가기 전국에 산재해 있는 한국문학관협회 회원문학관 46곳에 대한 안내서 문학관은 단순히 어떤 문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장소만은 아니다. 거기에는 그 지역의 문학적 향취와 정신적 맥락이 함께 담겨 있어 지역 답사의 지침 역할을 하기도 한다. 문학.. 2011. 5. 14. 독을 차고 - 김영랑 독(毒)을 차고 - 김영랑 내 가슴에 독(毒)을 찬 지 오래로다. 아직 아무도 해(害)한 일 없는 새로 뽑은 독 벗은 그 무서운 독 그만 흩어버리라 한다. 나는 그 독이 선뜻 벗도 해할지 모른다 위협하고, 독 안 차고 살어도 머지 않아 너 나 마주 가버리면 억만 세대(億萬世代)가 그 뒤로 .. 2011. 5. 9. 시 & 산문 낭송 축제 여는 글 - 김동기 문인과 함께하는 시 & 산문 낭송 축제 여는 글 겨우내 붉은 벽돌 건물에 매달려 있던 담쟁이가 세찬 눈보라를 이겨내고 봄 한철 새순이 줄기를 뻗어 청명한 하늘을 향해 한 뼘씩 오릅니다 손바닥만 한 연푸른 잎을 나비처럼 팔랑거리며 아침마다 반갑게 인사를 하더니 이내 교정을 순식간.. 2011. 5. 8. 운수 좋은 날 / 김동기 운수 좋은 날 삼 년 만의 봄나들이 아내의 체크 무늬 숄더 백 장롱 속 남은 가방들이 너, 오늘 간택 받았구나 눈짓하네 함박웃음 숨긴 채 개나리, 벚꽃과 도란도란 속살거리며 세상구경 정신없네 하필 작달비가 시샘하여 물에 빠진 생쥐꼴! 귀가 후 장롱 속 친구들에게 오늘 운수 사납다 * 작달비 : 장대.. 2011. 5. 8. 2011 전국 청소년 시낭송 축제 2011 전국 청소년 시낭송 축제 “시를 갖고 놀 수 있다니... 특별한 축제!!” 시로 말하고 시로 노래하자 “얘들아, 니들 시 갖고 한판 신나게 놀아볼텨?” 학교 수업시간, 느끼고 즐기고 감상하기보다 따지고 외우고 분석하기만 하는 시, 그래서 시는 슬프게도 다수 평범한 우리 청소년들에게 지루하고 .. 2011. 5. 3. 임철우 소설가와 인터뷰 임철우 소설가를 만나다 학생들과 소설을 공부하면서 항상 고민이 많습니다. 작품을 읽고 토론을 하고 작가를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데, 교육현장에서는 항상 평가를 준비하고 수능에 대비하여 언어영역 문제풀이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국어교사의 사명이 되어 버렸습니다. 이런 슬픈 현.. 2011. 4. 23. 한글학회를 찾아서 문학기자단 한글학회를 찾아서 조선어학회 순국선열 추모탑 건립과 광화문 한글 현판달기 100만명 서명운동 한글(훈민정음) 창제 565돌에서 2046년 한글 반포 600돌 맞이 준비 한글마루지(한글 문화의 거리) 조성과 한글 박물관 건립 우리의 얼과 정신이 담긴 한글 - 민족의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한 투쟁 1942.. 2011. 4. 4. 고은시인 인터뷰 2011. 3. 7. 만인보의 저자 고은 시인을 만나다 만인보의 저자 고은 시인을 만나다 인물 대서사시 만인보 완간 - 25년 집필 전 30권 작품수 4001편 연작시 영원한 노벨문학상 후보, 등단 52년, 세노야, 등대지기의 작사가, 겨레말 큰사전 이사장 시는 "자연의 언어, 심장의 뉴스(소리), 삶, 치유, 우주의 몸짓이다"라고 역설함 교과서 .. 2011. 3. 3. 고은시인과 인터뷰 고은시인과 인터뷰 만인보萬人譜의 저자 25년의 집필, 전30권 4001편의 만인과 시대에 바치는 연작시편 시로 쓴 인물대서사시 '한국 문학사 최대의 연작시' 진행 최원홍 주간: 시대와 역사 앞에 일관되게 살기가 쉽지 않은 지난 우리 현실에서 실천하는 지성인으로, 문학인으로 한 시대를 살.. 2011. 3. 3.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